유니드 주가와 수출금액 상관관계 (ft. 트럼프 정책, 탄소포집, 컨테이너 운임 종합 지수)
- 작성일25-01-18 22:35
- 조회1
- 작성자Clara
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서 컨테이너운임 제공하는 수출입 현황, 동향 및 시사점, 대응전략 등 분석 보고서컨테이너 해상운임 동향최근 1년간 글로벌 이벤트 발생으로 컨테이너 해상운임이 상승한 후 하락 전환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1) 홍해 후티 사태 : 희망봉 우회가 본격화된 23년 12월부터 해상운임은 한 달간 상승 후 3개월간 하락 2)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 : 24년 5월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 발표 후 운임은 2개월간 승승하여 7월 5일 고점 기록 후 3개월간 하락2. 컨테이너 해상운임 변동 특징① 항만 적체 ② 컨테이너운임 항로 항해 차질 ③ 해운수요 급증에 따른 병목현상은 화주가 이용가능한 선복량을 감소시켜 해상운임이 상승하는 주요 원인임20년 코로나 팬데믹, 21년 수에즈 운하 선박 좌초 사태, 23년 수에즈,파나마 운하 통항 차질 등 전 세계 가용 선복량이 감소한 시기에 해상운임도 상승 ① 항만 적체-코로나 팬데믹 초기 경기부양으로 미국의 수입 수요가 급증하자 심각한 항만적체가 발생하였으며, 이는 전 세계 가용 선복량의 감소와 해상운임 상승으로 이어짐② 항로 항해 차질 -홍해 후티 사태로 23년 12월부터 본격화된 희망봉 우회가 아직 해소되지 컨테이너운임 않고 있으며, 해상운임은 올해 1월 급등 후 3개월 간 하락세를 보임-23년 12월부터 홍해 후티 사태로 인해 컨테이너 선대가 희망봉을 우회함에 따라 선박의 항해일수가 증가하여 글로벌 가용 선복량이 감소-25년 2월 개시되는 머스크 사와 하팍-로이드 사의 Gemini 얼라이선스가 수에즈 운하 대신 희망봉 우회를 기본 노선으로 확정하며 해운시장에서 희망봉 우회가 상수화 되고 있음③ 해운수요 급증 병목-희망봉 우회로 가용선복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올해 5월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 발표로 중국발 조기 선적 수요가 급증하여 운임이 재상승 하였으나 다시 컨테이너운임 안정화 3. 2025년 컨테이너 해상운임 전망① 해운수요의 제한적인 증가 ② 구조적 공급과잉의 지속 등으로 해상운임 하락이 예상됨① 해운수요의 제한적인 증가 : 25년 미국과 중국의 경제성장이 올해보다 둔화되면서 해운수요 증가도 제한적중국의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(2.7억 TEU)은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(8.5억 TEU)의 약 1/3이며, 미국은 중국의 1위 수출대상국으로서 양국 경제상황은 글로벌 해운수요와 상호 밀접(UNCTAD)IMF와 OECD는 25년 미국과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낮게 전망 - 올해 10월 WTO는 전년비 북미지역 수입 물동량 증가율을 ('24)3.3%→('25)2.0%, 아시아 지역 수출 물동량 컨테이너운임 증가율을 ('24)7.4%→('25)4.7%로 하향 전망미국 에너지정보청(EIA)은 중국의 경기 둔화 및 미국 등 OECD의 산업생산 위축으로, 원유공급이 원유 수요를 상회하면서 25년 국제유가가 올해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-25년 2분기부터 원유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며 초과공급 시황일 것으로 예상② 구조적 컨테이너 선복 공급과잉 상태 지속25년은 컨테이너 선복 공급과잉이 나타나면서 해상운임 하방 압력이 커질 전망- 22-25년 선복 공급은 연평균 7%,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은 연평균 1% 증가 추정컨테이너 가용 선복량이 증가할 경우 글로벌 해상운송망 차질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- 올해 글로벌 컨테이너운임 신규 선복공급량은 사상 최대 규모인 305만 TEU로 예상되며, 이는 홍해 후티 사태(희망봉 우회)로 인한 선복 감소분(-210만 TEU)을 상회하는 수준(Alphaliner, LX판토스)불확실성이 해소될 때마다 컨테이너 운임이 하락하고 있어, 안정적인 선복 공급 증가가 시장에 각인될 경우 운임 하방 압력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-부산발 주요 항로 해상운임은 글로벌 이벤트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하락 전환한 바 있음4. 시사점▶ 항만 적체, 항로 통항 차질, 해운수요 급증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례적인 해상운임 상승의 주요 원인▶ 2025년에는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컨테이너운임 공급과잉이 부각되면서 해상운임 하방 압력이 커질 전망∙ (공급 증가) 2022-2025년 선복 공급은 연평균 7% 내외, 글로벌 컨테이너 물동량은 연평균 1% 증가하여 내년 컨테이너 해운시장은 공급과잉 상태에 직면할 전망 - 금년 내로 사상 최대 신규 선복량이 공급(+305만 TEU)이 완료되면 홍해 후티 사태(희망봉 우회)로 인한 선복 감소(-210만 TEU) 현상은 해소될 것으로 기대 - 항만 적체로 가용 선복량 감소가 극심했던 코로나 팬데믹 기간과는 달리, 신규 선복 공급이 가용 선복량 증가로 이어지는 상황 속 2025년에도 추가 206만 컨테이너운임 TEU*의 선복이 공급될 예정∙ (수요 제한) 2025년 글로벌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동일한 가운데, 미국과 중국의 성장은 올해보다 둔화될 것으로 보여* 해운물동량 급등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
등록된 댓글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